기사 (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한불연] 7 “문화 치유명상의 총론적 이해” [한불연] 7 “문화 치유명상의 총론적 이해” (6강은 강의하신 성해영교수의 요청으로 유튜브에 올리지 않았습니다. 양해 바랍니다)중앙승가대학교에서 30여년간 스님들을 교육해온 김응철교수가 “문화 치유명상의 총론적이해”라는 주제로 한국불교발전연구원 7번째 대중강좌를 진행했다.김응철 교수는 변화하는 종교 패러다임을 직시하면서 불교가 지닌 문화적 전통이야말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강력한 설득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찰음식을 잘하던 선재스님에게 사찰음식을 전문화하라고 권유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치유가 되고 명상이 되는 사찰음식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문화치유명상의 영역은 영상, 소리, 향기 운판 | 운판(雲版) | 2019-12-06 11:45 [2019만해언론상] 2 공로패 시상 축하의 말 [2019만해언론상] 2 공로패 시상 축하의 말 2019 만해언론상 시상식이 11월 27일 오후 7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렸다. 각 부문별 수상자들과 불교언론관계자, 불교시민단체 활동가들이 모두 모여 유쾌한 시상식을 함께했다. 현역 정치인으로는 유일하게 참석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시상식 내내 자리를 지킨 뒤 간결한 축사로 만해언론상을 축하했다. 이밖에도 오정훈 언론노조 위원장, 박건식 MBC PD수첩 책임 프로듀서, 열린선원 법현 스님 등이 축하의 말로 만해언론상을 격려했다.사회를 맡은 조재현 박사는 유머를 곁들인 편안한 진행으로 긴 시상식을 지루하지 않 운판 | 김경호 지식정보플랫폼 운판(雲版) 대표 | 2019-11-29 13:07 [원효불교] 원효문화원 대구지역본부 창립추진위 구성 [원효불교] 원효문화원 대구지역본부 창립추진위 구성 원효문화원 대구지역본부 창립추진위원회 및 간담회가 2019년 11월 26일 대구에서 열렸다. 대구 경북지역은 원효스님의 탄생 유적지 ‘삼성현(경산시)’을 비롯해 스님의 구도 자취가 어린 팔공산 등 원효스님 관련 유적과 역사가 첩첩이 쌓여있다. 대구 경북지역의 불교인들은 이 지역의 불교를 중흥시키는 구심으로 원효스님을 선양하고자 원효문화원 대구지역본부를 결성하기로 결의했다.당일 추진위원회 간담회에서 지역 불교계 현황을 개괄하고 시급한 활동분야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또한 이미 30여년의 봉사 경력을 쌓아오고 있는 활동하고 있는 원효 운판 | 운판(雲版) | 2019-11-28 17:03 [한불연] 4 우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불교의 지혜 [한불연] 4 우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불교의 지혜 한국사회는 세계사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급격한 변화를 이루어냈다. 식민지 지배를 거쳐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가 불과 수십년만에 세계 10위권의 경제강대국으로 성장했고 국민소득 3만불을 넘어섰다. 공중화장실 하나만 보더라도, 낙후되고 더러웠던 화장실은 이제 과거의 기억으로만 남았다. 어쩌면 공중위생과 직결된 화장실문화는 한국보다 나은 사례를 찾기 어려울지 모른다. 선진국 담론, 문화국가 담론의 이상향으로 여겼던 미국이나 유럽도 실상을 알고보면 우리사회보다 못한 구석이 적지 않다.한국사회의 눈부신 변화는 한편으로는 매우 흥미로운 연구 운판 | 운판(雲版) | 2019-11-08 10:38 [원효불교] 대학로발전소와 업무협약, 지식정보플랫폼 운판 [원효불교] 대학로발전소와 업무협약, 지식정보플랫폼 운판 [재]원효불교문화연구재단(이사장 김정희)과 주식회사 대학로발전소(대표 노희순)는 11월 5일 원효불교문화재단 사무실에서 공연 예술 발전 및 문화 활동 증진 등을 위한 상호 협력에 협의하고 협약을 체결한다.이사장을 대리하여 홍무흠 상임이사가 체결한 업무협약을 통해 두 단체는 공연 예술의 발전과 문화 활동 활성화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두 단체는 앞으로 ‘문화 예술 공연 기획 사업 홍보 및 마케팅’과 ‘음악, 미술, 무용 등 아티스트 공연 연계 프로그램 진행 및 홍보 프로모션’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운판 | 운판(雲版) | 2019-11-06 11:07 [정평법회] '불교의 정의론' [정평법회] '불교의 정의론' 정의평화불교연대의 9월 정기법회가 2019년 9월 21일 우리함께빌딩 6층의 우리는 선우 법당에서 열렸다. 9월의 주제는 ‘불교의 정의론’에 대한 것이다. 고려대학교 이병욱 교수가 정리하여 법문형식으로 발표했다.이병욱 교수는 “정의론의 주요내용은 자유와 평등이 될 것이므로, 그 자유와 평등에 대한 초기불교의 관점을 간단히 알아보고, 불교인이 어떻게 정의를 실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대승불교에 속하는 화엄경의 보현행원품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라고 했다. 초기불교에서 원천을 찾아 대승불교의 실천방법까지 아우른 것이다.이병욱 교수는 자유에 대해서는 밧지족의 공화제를, 평등에 대해서는 고대인도의 사성계급을 타파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리고 화엄경 보현행원품을 근거로 하여 불교인의 실천에 대하여 설 운판 | 운판(雲版) | 2019-10-04 14:24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