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계종, 국립공원·문화재에 모두 죄인
정부·조계종, 국립공원·문화재에 모두 죄인
  • 法應(불교사회정책연구소)
  • 승인 2009.03.06 10:5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칼럼] 중요성 공유 못하면 관람료 저항·절앞 공장 들어서도 말못해

▲ 시민단체들이 조계사 앞에서 '조계종의 문화재관람료 부당징수 해결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2007. 불교닷컴 (2007년 07월 10일 (화) 14:21:20)
<붓다뉴스>와 <불교 포커스>등 교계언론이 문화재관람료 소송에서 사찰측 패소에 따른 파장의 심각성을 연이어 보도하고 있다. 한마디로 사찰문화재관람료 문제가 2년여 만에 대대적으로 재 점화될 낌새다.

시간을 거슬러 2007년 봄부터 여러 단체들이 문화재관람료 문제를 거론하면서 사찰입구 매표소에서 주말마다 시위를 하다시피 했다. 일간지 보도는 물론 TV 방송사는 9시 뉴스에 대대적 보도를 하는 등 거의 모든 언론사가 불교를 때렸다.

이대로 두면 불교이미지가 끝없이 추락할 것으로 예상되어 구걸을 하다시피 하여 2007년 8월 28일 「위기의 국립공원 외면당하는 사찰문화재」라는 홍보용 책자를 제작하여 각 단체에 공습하듯 발송했다. 북한산국립공원등 일부 국립공원을 직접 답사하여 파괴의 현장을 사진에 담아 자료로 활용하고, 미국과 일본의 국립공원 보호현장도 소개했다.

어떠한 이유에서 인지 이후 시위가 잠잠해 졌다. 당시 종단은 속수무책이었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국립공원과 전통사찰관련 포스터 3종류를 다시 제작하여 문화재 관람료 사찰에 배포했다. 총무원청사 각층 계단에도 거의 1년간 부착했다.

종단이 수차에 걸쳐 대책회의와 토론회를 개최했으나 사실상 뾰족한 대안제시를 하거나 정부와 제대로 된 대화조차 나누지 못하는 실정이다.

정부와 불교계가 우선 공동인식할 것이 있다.
첫째, 국토나 국가에서 국립공원은 ‘자연의 문화유산’이며, 전통사찰의 문화재는 ‘역사 인위적 문화유산’으로서 국가의 대표브랜드라는 인식을 같이 해야 한다. 이 자연과 역사문화의 대표브랜드 가치를 우리 스스로가 높여야만 국가는 물론 현대사회의 생산품의 브랜드 가치도 향상됨이 외국의 교훈이다.

두 번째, 국립공원과 전통사찰의 문화재는 적극적인 관리보존대책의 부재로 인해 파괴 되고 있다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현재 전국의 국립공원의 산지 등산로는 ▶각종원인에 의한 지반침하 ▶강우 등에 의한 산사태 ▶Rock sliding ▶도로개설로 인한 직간접 파괴 ▶포화상태 탐방객의 답압과 뾰족한 지팡이에 의한 패임 현상 ▶기후변화와 겨울철 암반의 결빙 등에 따른 절리현상의 빠른 진행 ▶샛길 통제의 한계에 따른 쓰레기 및 신규 소로 길 생성 등으로 빠르게 붕괴가 진행되고 있음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

세 번째, 정신적인 문제로서 국립공원이나 전통사찰이 붕괴되면 거시적, 포괄적 의미에서 국민의 정신적 육체적 휴식처가 사라지고, 관광자원마저 소멸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청소년 등 국민에게 자연과 역사문화에 대한 교육현장이 사라지게 되며, 이는 인성의 황폐화에 일조하게 된다.

네 번째, 국립공원과 70% 이상이 불교문화재인 현실에서 전통사찰과 그 소유 문화재를 홀대 시 국제적으로 결코 선진국의 대접을 받을 수 없으며. 야만국가라는 오명을 받을 수 있음에 심각성을 더한다.

국립공원보호와 문화재관람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의나 토론회 따위는 지겹도록 했다. 더 늦기 전 종단이 앞장서서 정부와 객관적 시각에서 사찰문화재와 국립공원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부터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인사, 관련 전문가, 종단관계자로 팀을 구성하여 전국의 국립공원과 사찰문화재 현장을 답사해야 한다. 현장을 봐야 심각성을 인식할 수 있다. 정부와 종단은 실질적인 대안을 생산할 조직도 구성해야 한다. 종단이 앞장서야 한다.

종단은 ‘전통사찰과 성보문화재의 브랜드 향상을 위한 노력’을 그 동안 게을리 했다. 최고 명품을 갖고도 그 브랜드에 걸 맞는 대접과 홍보에 소흘했다. 종단 내부조직으로 가칭 ‘불교브랜드위원회’를 구성할 때가 됐다.

불교가 국민에게 불교성보문화재, 국립공원과 전통사찰의 가치에 대하여 제대로 된 홍보와 탐방객에 명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불교성보와 국립공원 내 사찰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긍정적이라면 관람료 문제는 그리 심각하지 않을 것이다.

해외 반출문화재 7만여 점, 그 중에 3만여 점이 일본에 있으며 소재가 파악 된 것은 고작 1,600여 점에 불과하다. 정부가 해외 반출된 문화재에 대한 반환을 주장하려면 국내 문화재부터 제대로 대접하는 자세가 선행돼야 한다.

더불어 국민은 유네스코가 ‘역사 유적지의 보호와 현대적 역할에 관한 권고’ 중 「“(역사문화)환경”이란 유적지를 둘러싸고 있어 정적 또는 동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거나, 시간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유적지에 직접적으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것을 의미한다」한 내용에 깊은 이해를 해야 한다.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AFEGUARDING AND CONTEMPORARY ROLE OF HISTORIC AREAS) The "environment" shall be taken to mean the natural or man-made setting which influences the static or dynamic way these areas are perceived or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m in space or by social, economic or cultural ties.

문화재는 단순히 당해 문화재뿐 만아니라 그 주변의 환경까지도 문화재와 같이 인식되어 보호 유지돼야 한다는 것으로서 정부나 불교계는 꾸준히 홍보해야할 과제중 하나다.

▲ 종목: 보물 제980호 (출처:문화재정보센터) 명칭: 화성봉림사목아미타불좌상(華城鳳林寺木阿彌陀佛坐像) 분류: 유물/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일: 1989.04.10 시대: 고려시대
당장 경기도 화성시 북양동 무봉산의 조계종 소속 봉림사가 대웅전에서 불과 200여m 거리에 자동차 부품제조공장이 들어선다고 한다. 봉림사는 보물 제980호 화성봉림사목아미타불좌상(華城鳳林寺木阿彌陀佛坐像)를 보유한 고찰이다. 경기도 의회가 문화재 보호구역을 200m로 조례를 축소한 이래 최초의 피해사찰이 되었다. 종단적 대책이 시급하다.

정부와 불교계가 적극성을 외면하고 헛발질 하는 사이 이 땅에서 불교역사문화와 국가를 대표하는 풍경으로서 국립공원은 외면당하며, 무너지고 있다. 대한민국이 무너짐과 다를 바 아니다.

「위기의 국립공원 외면당하는 사찰문화재」 책자보기
/ 法應(불교사회정책연구소)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수정 2009-03-06 12:29:18
입장료폐지를 위한 시위를 환경연합이 주도했다고 하는데...
당시 법응스님이 그 단체 항의방문했을 때
단체 대표가 반대운동 단체에 자신들 명의를
사용하도록 허락한 적이 없다고 했습니다.
폐지주장은 커녕 명의조차 허락한 적 없는 단체를
주도자로 몰아 세우는 건 왜곡이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16 대형빌딩 4층
  • 대표전화 : (02) 734-7336
  • 팩스 : (02) 6280-25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석만
  • 대표 : 이석만
  • 사업자번호 : 101-11-47022
  • 법인명 : 불교닷컴
  • 제호 : 불교닷컴
  • 등록번호 : 서울, 아05082
  • 등록일 : 2007-09-17
  • 발행일 : 2006-01-21
  • 발행인 : 이석만
  • 편집인 : 이석만
  • 불교닷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불교닷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san2580@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