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가 뽑은 낙천 대상자, 그 가운데 종교유착 후보 2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온 국회의원 선거. 총선 부적격후보를 선정해 발표한 시민넷의 의견을 듣기 위해 종교투명성센터의 김집중 사무총장과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의 안디도 사무총장을 불러 이야기를 들었다.
먼저 시민사회단체의 부적격후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경과를 들은 뒤, 정치와 종교의 유착과 관련하여 부정적 평가를 받은 후보는 누구인지 물었다. 종교투명성센터는 개신교의 이해를 대표해온 국민의힘 김기현의원, 문화재관람료 국고지원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의원 두 사람을 꼽았다.
사회자는 정청래의원의 경우, 정치권이 외면하던 문화재관람료 문제를 앞장서 제기하다가 조계종으로부터 조직적 반발을 샀음을 지적했다. 정치인이 정치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종교의 요구를 수용한 것을 오로지 그의 책임으로만 돌리는 것은 가혹하지 않은지 물었다. 또 정치인들은 유권자나 집단의 이해를 대변하는 것이 본래 역할이며, 종교집단과의 교류와 소통과 부적절한 유착을 가르는 기준이 명확해야 함을 지적했다.
양당의 공천이 거의 마무리된 결과를 보면, 시민단체들이 지적한 부적격 후보 명단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종교편향 이슈와 정교유착 문제는 실제 공천과정에서 고려의 중요도가 낮았다.
게다가 명단을 보면, 누구나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빠졌다. 현역의원만을 대상으로 평가했다는 해명으로는 부족하다. 선거철이 되어서야 급조되는 평가가 아니라 평소 의정활동과 발언을 모니터링하는 꾸준한 작업이 필요하다.
자승 전원장의 경우 걷기순례에 정치인들을 부르고, 봉은사 구생원에도 불러 만남을 자주 가졌다. 예전 선거때는 자승 전원장이 직접 시장을 함께 돌며 선거운동까지 해 준 경우도 있었다. 나경원, 박영선 의원 등이다. 정교유착은 선거철에 공약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평소 관계를 통해 은밀하게 진행된다. 이를 감시하고 판별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정치와 종교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 선거국면에서 종교인들은 어떤 스탠드를 취해야 할 것인지 아직 합의된 바가 없다. 이번 총선 출마자 선택을 고민할 때 그가 특별히 종교적 양심에 따라 살아왔는지가 중요한 기준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