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불교교류 비망록:이제, 다시 본다] 19. 2003년 북녘사찰 단청불사
[남북불교교류 비망록:이제, 다시 본다] 19. 2003년 북녘사찰 단청불사
  • 이지범 북한불교연구소장
  • 승인 2022.01.24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청, 붉고 푸른 옷을 입히다”

단청(丹靑)은 ‘붉고 푸른 그림’을 뜻한다. 붉은색과 푸른색으로 무늬를 그린 문양을 넣어서 의장하는 일을 목적으로, 그 자체를 일컫는다.

불교 소설의 백미로 꼽히는 1978년 김성동의 중편소설 《만다라》에는 “대웅전 처마 끝의 금박 단청이 눈부시다.” 궁궐이나 사찰 등 목조건축물에 그려진 화려한 단청에는 근대에 이르기까지 천연 안료를 주로 썼지만, 요즘 단청 공사에 화학 물감인 ‘에메랄드그린’(洋綠)이 쓰이기도 한다. 서양에서 온 녹색이라 하여 부르는 양록을 사용하면, 쨍하게 느껴질 정도로 눈부신 초록색의 칠감이 완성되기 때문이다.

목조 건축의 단청은 크게 건물의 미화적 측면과 목재 부식 등을 방지하는 내구적 효과에 있다. 건물의 중요도에 따라 다섯 가지 채색 방식이 있다. 가칠단청, 긋기단청과 부재 끝부분에만 머리초 문양을 장식하는 모로단청(머리단청), 금문이나 당초문을 얼기설기 넣은 얼금단청(금모로단청), 최고등급의 장엄 양식인 금단청은 비단에 수 놓듯이 모든 부재에 여러 문양과 화려한 채색으로 장식하고, 금박 도금줄을 넣은 금문(錦紋)이 추가로 장식하기에 붙인 명칭이다.

우리나라 단청 문화는 1950년대에 분단으로 단절됐다. 남측과 달리 북측의 평양은 6.25 전쟁 때 90% 넘게 파괴되어 다시 건설된 회색빛 도시로 대변됐다. 2013년 이후, 평양의 콘크리트 도시 건물들은 대규모의 도색작업을 통해 탈바꿈했다. 그 후 평양을 방문한 남측의 아무개 기자가 칠 작업이 덜된 건물들을 가리키며 “뒤쪽에는 칠을 안 했습니까?”라고 북측 해설봉사원에게 질문하니, “기자 선생은 넥타이를 등 뒤에도 맵니까.”라고 반문하여 폭소를 자아낸 바 있다.

평양의 인민대학습당・만수대의사당・인민문화궁전・금수산 태양궁전・평양대극장・국가선물관・옥류관・영명사지에 건립한 흥부초대소 등과 주체탑・개선문・릉라도경기장 등을 비롯하여 묘향산의 제1,2 국제친선전람관 등 북측의 기념비적 건물과 조형물들은 콘크리트 공법과 석재를 사용하여 건립됐다. 특히 묘향산의 제1 국제친선전람관・보현사 만세루, 평양의 동명왕릉 전시관(재실)・정릉사・광법사・대성산성 남문과 개성 영통사, 강원도의 고산군 석왕사 대웅전(2019년 12월) 등과 통천군 용추사 대웅전(2002년 봄) 등은 콘크리트 공법으로 대규모의 조선식(한옥) 건물을 짓고, 채색(단청)한 것으로 유명하다.

‘북조선의 색’으로 불리는 단청은 2003년 8월 ‘남북(북남) 공동시범 단청사업’으로 본격화됐다. 남북교류에서의 가장 종교적인 사례로, 불교적 소재를 바탕으로 한 첫 문화교류로 꼽힌다. 그때의 남북교류 현황과 주요한 내용을 살펴본다.

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2003.8.7. 평양 법운암)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2003.8.7. 평양 법운암)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조선의 빛깔을 찾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열린 남북교류에서 2003년은 남북불교 교류 최고의 한 해였다. 남북공동 단청불사 작업을 비롯하여 개성 영통사 복원사업과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에 관한 협의 체결과 6.15와 8.15 및 10.3 남북공동 행사를 비롯한 홍(紅)가사 지원 등 가장 불교적인 내용의 교류가 열렸다.

특히 남북공동 단청불사 사업은 기존의 교류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일회성 교류의 범위를 벗어나 장기체류방식의 기술 협력과 안료(물감), 인적 교류까지 확대됐다. 이러한 교류가 추진되기까지는 신법타 평불협 회장과 양산 조계종 사회부장, 학담 민주본 상임집행위원장, 도각 조계종 남북교류위원장 등 남측 인사들과 조불련의 황병대 부위원장, 심상련 서기장 등 불교 인사들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참사들의 노력이 뒷받침됐다.

2002년 2월 초, 금강산에서 열린 금강산신계복원추진위원회 남북불교회의에서 상정된 첫 의제였다. 그해 8월 26일 조불련은 남측 민추본에 ‘사찰 및 민족문화재 단청사업’을 위한 재료 지원 및 기술교류를 제안했다. 또 10월 9일 중국 베이징에서 민추본, 평불협 대표단이 조불련과 회동하고, 북측지역 59개 사찰에 관한 단청재료 지원 및 기술교류에 대해 협의했다. 이때 황병준 조불련 부위원장은 “북과 남이 합심하여 민족문화재인 사찰을 조선의 색으로 다시 입히는 것은 역사적인 불교 사업인 동시에 조국통일을 앞당기고, 6.15 공동선언의 리행에 한 발자국 더 나아가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평양 법운암을 시범사찰로 지정하고, 처음 단청작업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그 당시 조불련에서 남측에 제공한 ‘북반부 사찰 단청지원과 관련한 자료’를 보면, 다음 <표1, 표2>와 같다.

그해 11월 26일~12월 3일까지 평불협 대표단은 방북하여 조불련 측과 북한사찰 단청불사에 관한 추진 및 개금불사에 대한 합의를 가졌다. 이후 12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조불련 대표단(황병준 부위원장, 한성기 국제부장)과 조계종 총무원(양산 사회부장, 지일 사회국장)은 북한지역 59개 사찰 및 민족문화재에 대한 단청불사 추진에 관한 합의서를 최종 체결하면서 성사됐다.

2003년 2월 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조불련과 남측의 민추본, 평불협 대표단은 단청불사에 대한 세부사항을 협의하고, 이어 3월 초, 국내에서 민추본과 평불협과 공동사업으로 추진키로 합의했다. 그해 3월 11일~15일까지 학담 민추본 상임집행위원장을 단장으로 법경 민추본 사무처장, 김봉건 국립문화재연구소장 등 6명의 실사단을 파견하고, 북한사찰 및 문화재에 대한 단청 현황조사 및 실행 합의서를 체결했다. 4월 1일 신법타, 학담, 미산 등은 남측의 단청불사추진위원회 구성에 관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공식화했다. 이어 5월 27일 북한사찰 단청불사를 위한 단청안료 및 도구 1차 지원을 추진하고, 6월 5일 통일부에 북한사찰 단청불사 협력사업 사업자 및 사업 승인을 받았다. 그해 7월 28일~30일 금강산호텔에서 ‘남북 단청문화 전시회 및 학술 토론회’를 처음으로 가졌다.

표1. 북반부 사찰 1단계 단청사암 현황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법운암
			
			
			4
			
			
			1,108
			
			
			룡화사
			
			
			1
			
			
			1,500
			
		
		
			
			동금강암
			
			
			1
			
			
			840
			
			
			법흥사
			
			
			3
			
			
			1,102
			
		
		
			
			법련사
			
			
			3
			
			
			2,410
			
			
			안국사
			
			
			3
			
			
			4,825
			
		
		
			
			보현사(향산읍)
			
			
			9
			
			
			11,013
			
			
			상원암
			
			
			2
			
			
			1,035
			
		
		
			
			불영대
			
			
			1
			
			
			770
			
			
			하비로암
			
			
			2
			
			
			854
			
		
		
			
			금강암(굴)
			
			
			1
			
			
			441
			
			
			능인암
			
			
			1
			
			
			560
			
		
		
			
			계조암
			
			
			1
			
			
			1,008
			
			
			화장암
			
			
			1
			
			
			678
			
		
		
			
			축성전
			
			
			1
			
			
			1,020
			
			
			보월사
			
			
			1
			
			
			2,880
			
		
		
			
			량화사
			
			
			5
			
			
			2,693
			
			
			만년사
			
			
			1
			
			
			700
			
		
		
			
			성불사
			
			
			6
			
			
			5,052
			
			
			심원사(박천군)
			
			
			6
			
			
			2,880
			
		
		
			
			귀진사
			
			
			3
			
			
			2,028
			
			
			강서사
			
			
			1
			
			
			640
			
		
		
			
			송월암
			
			
			1
			
			
			520
			
			
			고정사
			
			
			2
			
			
			958
			
		
		
			
			월정사
			
			
			4
			
			
			3,372
			
			
			자혜사
			
			
			1
			
			
			1,100
			
		
		
			
			관음사
			
			
			1
			
			
			910
			
			
			안화사
			
			
			2
			
			
			2,562
			
		
	


 

표2.북반부 사찰 2단계 단청사암 현황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표훈사
			
			
			6
			
			
			3,529
			
			
			보덕암
			
			
			1
			
			
			280
			
		
		
			
			정양사
			
			
			2
			
			
			1,960
			
			
			보윤암
			
			
			1
			
			
			1,134
			
		
		
			
			명적사(원산시)
			
			
			2
			
			
			1,300
			
			
			령죽사(영추암)
			
			
			1
			
			
			350
			
		
		
			
			보현사(안변군)
			
			
			5
			
			
			3,100
			
			
			불지암
			
			
			1
			
			
			539
			
		
		
			
			동문사
			
			
			1
			
			
			1,085
			
			
			천주사
			
			
			2
			
			
			11,010
			
		
		
			
			서운사
			
			
			2
			
			
			704
			
			
			개원사
			
			
			1
			
			
			840
			
		
		
			
			금강사
			
			
			6
			
			
			2,138
			
			
			심원사(연탄군)
			
			
			3
			
			
			2,406
			
		
		
			
			흥복사
			
			
			2
			
			
			2,080
			
			
			룡흥사
			
			
			4
			
			
			4,761
			
		
		
			
			귀주사
			
			
			1
			
			
			1,080
			
			
			지흥사(복흥사)
			
			
			2
			
			
			1,900
			
		
		
			
			안불사
			
			
			2
			
			
			2,312
			
			
			정광사
			
			
			3
			
			
			3,390
			
		
		
			
			광제사
			
			
			3
			
			
			2,460
			
			
			동덕사
			
			
			1
			
			
			1,000
			
		
		
			
			가루사
			
			
			2
			
			
			1,020
			
			
			량천사
			
			
			3
			
			
			4,240
			
		
		
			
			청계사
			
			
			2
			
			
			1,740
			
			
			관해사
			
			
			2
			
			
			1,770
			
		
		
			
			쌍계사
			
			
			3
			
			
			1,744
			
			
			만수암
			
			
			3
			
			
			1,194
			
		
		
			
			원명사(희천시)
			
			
			3
			
			
			2,360
			
			
			중흥사(삼수군)
			
			
			2
			
			
			1,840
			
		
	



분단 반세기를 넘긴 때에 다시 찾은 조선의 빛깔 찾기는 2003년 8월 7일 오전 11시 평양시 룡악산 법운암에서 ‘북남(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로 시작됐다. 심상진 조불련 서기장의 사회와 리영호 책임부원의 집전으로 진행된 입재 법회에는 남측 대표단과 조불련 임원과 사찰 주지와 평양시 불자 등 사부대중 130여 명이 참여했다. 내각 직속의 문화보존지도국 리의화 부국장(차관급)이 인사말을 한데, 이어 남측의 공동대표 신법타 평불협 회장은 “지금은 비록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민족문화의 온전한 계승과 발전이 제약되어 있지만, 남측에 있는 문화재도 북측에 있는 문화재도 모두 소중한 민족문화유산이다. 역사적 의미를 지닌 남북 단청불사 협력사업을 시작으로 남북 불교계가 앞장서 문화적 측면은 물론이고, 남북불교 교류 활성화에 기여해 민족의 화합과 통일의 길을 앞당기자.”라는 축사를 가졌다.


이날 법운암 입재 법회에는 리의화 문화보존지도국(문화재청) 부국장 등 정부 인사를 비롯해 조불련의 황병준 부위원장, 심상진 서기장, 한성기 국제부장, 리영호 책임부원, 정영호 교육부장 등과 평양시 불자 120여 명 그리고 남측에서 학담 민추본 집행위원장, 미산 조계종 사회부장, 도후 불교방송 이사장, 영담 석왕사 주지, 설송 희방사 주지, 혜자 도선사 주지, 장곡 선본사 주지 등 8명과 김준웅 단청장, 박영석 단청기술자, 정인악 평불협 이사장, 임대윤 대구시 동구청장, 주호영 변호사, 이준성 삼화페인트 과장, 이환래 민추본 기획홍보국장, 주준하 평불협 학생대표, 김성호・김헌영・김성룡 개금전문가 등 남측 인사들이 참가했다.

평양 법운암에 대한 시범사업 단청 공동작업은 김성룡 단청수리기술자 등 남측 6명과 북측 만수대창작사 소속의 화가와 노무인력 2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2003년 8월 5일~19일까지 법운암에서 단청과 불상 개금작업을 완료했다. 그 후 북측 문화보존지도국의 지도하에, 조불련과 해당사찰, 각 시・도 인민위원회는 단청작업 사찰에 대해 2008년까지 보수와 수리, 단청작업을 수행했다.



평양 법운암 단청 및 수리작업(2003.8.5.~8.19.) 사진=통일시대(2019년 8월호).



 



묘향산 보현사 홍가사 전달식(2003.10.3.)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조선의 빛깔로 덮다
2003년 10월 3일 묘향산 보현사 대웅전에서 특별한 불교의식이 열렸다. 남측 평불협에서 보현사를 비롯한 평양 광법사에 붉은 가사(紅袈裟) 100벌을 전달했다. 이날 신법타 평불협 회장은 홍가사를 불단에 올린 다음, 청운 최형민 보현사 주지에게 전달했다. 1991년 10월 30일 미국 LA 관음사 보현회가 조불련에 홍가사 100벌을 전달한 이후, 두 번째의 가사 전달이었다.

‘금강산의 붉은 승려’가 근세기의 상징이었다면, 2003년 10월 보현사에서의 홍가사 전달은 북조선의 붉은 승려로 상징됐다. 묘향산 용주봉의 사리탑과 팔만대장경보존고 그리고 붉은 승려가 머무는 북한 삼보사찰의 위상을 가진 보현사 법당은 조선의 빛깔로 가득 채워졌다.

그해 6.15 민족통일대축전 3돌 남북공동 행사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SARS)의 유행으로 남과 북에서 따로 열렸다. 하지만 8.15 민족대회는 남측 대표단 340명이 평양을 방문해 가졌다. 8월 17일 부문별 상봉행사는 불교는 평양 광법사에서, 기독교는 평양 봉수교회, 천주교는 장충성당, 천도교는 평양 청우당에서 남북공동으로 예식을 열었다. 특히 8월 21일 대구에서 열린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개막식에 남과 북의 대표선수들이 한반도기를 앞세워 동시 입장을 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동시 입장은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대회’에 이어 두 번째였다.

그간 남북교류에 있어 보조역할에 만족했던 불교계가 이 시기로부터 선봉에 나서게 됐다. 2003년 1월 14일에 남측 조계종단과 조불련이 금강산 신계사 복원 불사에 대한 기본 합의서를 체결, 교환하였으며, 11월 9일~23일 금강산 신계사 터에 대한 남북공동 시・발굴조사가 처음 진행됐다. 또 2월 27일 남측의 천태종은 북측과 개성 영통사 복원에 관한 약정에 합의하는 등 본격적으로 북녘사찰의 복원 시대가 개막되면서부터다.

# 다음 편은 ‘2004년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이 이어집니다.

-------------------------------------------------------------------------------------
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2003.8.7. 평양 법운암)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2003.8.7. 평양 법운암)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2003.8.7. 평양 법운암)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조선의 빛깔을 찾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열린 남북교류에서 2003년은 남북불교 교류 최고의 한 해였다. 남북공동 단청불사 작업을 비롯하여 개성 영통사 복원사업과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에 관한 협의 체결과 6.15와 8.15 및 10.3 남북공동 행사를 비롯한 홍(紅)가사 지원 등 가장 불교적인 내용의 교류가 열렸다.

특히 남북공동 단청불사 사업은 기존의 교류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일회성 교류의 범위를 벗어나 장기체류방식의 기술 협력과 안료(물감), 인적 교류까지 확대됐다. 이러한 교류가 추진되기까지는 신법타 평불협 회장과 양산 조계종 사회부장, 학담 민주본 상임집행위원장, 도각 조계종 남북교류위원장 등 남측 인사들과 조불련의 황병대 부위원장, 심상련 서기장 등 불교 인사들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참사들의 노력이 뒷받침됐다.

2002년 2월 초, 금강산에서 열린 금강산신계복원추진위원회 남북불교회의에서 상정된 첫 의제였다. 그해 8월 26일 조불련은 남측 민추본에 ‘사찰 및 민족문화재 단청사업’을 위한 재료 지원 및 기술교류를 제안했다. 또 10월 9일 중국 베이징에서 민추본, 평불협 대표단이 조불련과 회동하고, 북측지역 59개 사찰에 관한 단청재료 지원 및 기술교류에 대해 협의했다. 이때 황병준 조불련 부위원장은 “북과 남이 합심하여 민족문화재인 사찰을 조선의 색으로 다시 입히는 것은 역사적인 불교 사업인 동시에 조국통일을 앞당기고, 6.15 공동선언의 리행에 한 발자국 더 나아가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평양 법운암을 시범사찰로 지정하고, 처음 단청작업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그 당시 조불련에서 남측에 제공한 ‘북반부 사찰 단청지원과 관련한 자료’를 보면, 다음 <표1, 표2>와 같다.

그해 11월 26일~12월 3일까지 평불협 대표단은 방북하여 조불련 측과 북한사찰 단청불사에 관한 추진 및 개금불사에 대한 합의를 가졌다. 이후 12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조불련 대표단(황병준 부위원장, 한성기 국제부장)과 조계종 총무원(양산 사회부장, 지일 사회국장)은 북한지역 59개 사찰 및 민족문화재에 대한 단청불사 추진에 관한 합의서를 최종 체결하면서 성사됐다.

2003년 2월 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조불련과 남측의 민추본, 평불협 대표단은 단청불사에 대한 세부사항을 협의하고, 이어 3월 초, 국내에서 민추본과 평불협과 공동사업으로 추진키로 합의했다. 그해 3월 11일~15일까지 학담 민추본 상임집행위원장을 단장으로 법경 민추본 사무처장, 김봉건 국립문화재연구소장 등 6명의 실사단을 파견하고, 북한사찰 및 문화재에 대한 단청 현황조사 및 실행 합의서를 체결했다. 4월 1일 신법타, 학담, 미산 등은 남측의 단청불사추진위원회 구성에 관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공식화했다. 이어 5월 27일 북한사찰 단청불사를 위한 단청안료 및 도구 1차 지원을 추진하고, 6월 5일 통일부에 북한사찰 단청불사 협력사업 사업자 및 사업 승인을 받았다. 그해 7월 28일~30일 금강산호텔에서 ‘남북 단청문화 전시회 및 학술 토론회’를 처음으로 가졌다.

표1. 북반부 사찰 1단계 단청사암 현황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법운암
			
			
			4
			
			
			1,108
			
			
			룡화사
			
			
			1
			
			
			1,500
			
		
		
			
			동금강암
			
			
			1
			
			
			840
			
			
			법흥사
			
			
			3
			
			
			1,102
			
		
		
			
			법련사
			
			
			3
			
			
			2,410
			
			
			안국사
			
			
			3
			
			
			4,825
			
		
		
			
			보현사(향산읍)
			
			
			9
			
			
			11,013
			
			
			상원암
			
			
			2
			
			
			1,035
			
		
		
			
			불영대
			
			
			1
			
			
			770
			
			
			하비로암
			
			
			2
			
			
			854
			
		
		
			
			금강암(굴)
			
			
			1
			
			
			441
			
			
			능인암
			
			
			1
			
			
			560
			
		
		
			
			계조암
			
			
			1
			
			
			1,008
			
			
			화장암
			
			
			1
			
			
			678
			
		
		
			
			축성전
			
			
			1
			
			
			1,020
			
			
			보월사
			
			
			1
			
			
			2,880
			
		
		
			
			량화사
			
			
			5
			
			
			2,693
			
			
			만년사
			
			
			1
			
			
			700
			
		
		
			
			성불사
			
			
			6
			
			
			5,052
			
			
			심원사(박천군)
			
			
			6
			
			
			2,880
			
		
		
			
			귀진사
			
			
			3
			
			
			2,028
			
			
			강서사
			
			
			1
			
			
			640
			
		
		
			
			송월암
			
			
			1
			
			
			520
			
			
			고정사
			
			
			2
			
			
			958
			
		
		
			
			월정사
			
			
			4
			
			
			3,372
			
			
			자혜사
			
			
			1
			
			
			1,100
			
		
		
			
			관음사
			
			
			1
			
			
			910
			
			
			안화사
			
			
			2
			
			
			2,562
			
		
	


 

표2.북반부 사찰 2단계 단청사암 현황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평)
			
		
		
			
			표훈사
			
			
			6
			
			
			3,529
			
			
			보덕암
			
			
			1
			
			
			280
			
		
		
			
			정양사
			
			
			2
			
			
			1,960
			
			
			보윤암
			
			
			1
			
			
			1,134
			
		
		
			
			명적사(원산시)
			
			
			2
			
			
			1,300
			
			
			령죽사(영추암)
			
			
			1
			
			
			350
			
		
		
			
			보현사(안변군)
			
			
			5
			
			
			3,100
			
			
			불지암
			
			
			1
			
			
			539
			
		
		
			
			동문사
			
			
			1
			
			
			1,085
			
			
			천주사
			
			
			2
			
			
			11,010
			
		
		
			
			서운사
			
			
			2
			
			
			704
			
			
			개원사
			
			
			1
			
			
			840
			
		
		
			
			금강사
			
			
			6
			
			
			2,138
			
			
			심원사(연탄군)
			
			
			3
			
			
			2,406
			
		
		
			
			흥복사
			
			
			2
			
			
			2,080
			
			
			룡흥사
			
			
			4
			
			
			4,761
			
		
		
			
			귀주사
			
			
			1
			
			
			1,080
			
			
			지흥사(복흥사)
			
			
			2
			
			
			1,900
			
		
		
			
			안불사
			
			
			2
			
			
			2,312
			
			
			정광사
			
			
			3
			
			
			3,390
			
		
		
			
			광제사
			
			
			3
			
			
			2,460
			
			
			동덕사
			
			
			1
			
			
			1,000
			
		
		
			
			가루사
			
			
			2
			
			
			1,020
			
			
			량천사
			
			
			3
			
			
			4,240
			
		
		
			
			청계사
			
			
			2
			
			
			1,740
			
			
			관해사
			
			
			2
			
			
			1,770
			
		
		
			
			쌍계사
			
			
			3
			
			
			1,744
			
			
			만수암
			
			
			3
			
			
			1,194
			
		
		
			
			원명사(희천시)
			
			
			3
			
			
			2,360
			
			
			중흥사(삼수군)
			
			
			2
			
			
			1,840
			
		
	



분단 반세기를 넘긴 때에 다시 찾은 조선의 빛깔 찾기는 2003년 8월 7일 오전 11시 평양시 룡악산 법운암에서 ‘북남(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로 시작됐다. 심상진 조불련 서기장의 사회와 리영호 책임부원의 집전으로 진행된 입재 법회에는 남측 대표단과 조불련 임원과 사찰 주지와 평양시 불자 등 사부대중 130여 명이 참여했다. 내각 직속의 문화보존지도국 리의화 부국장(차관급)이 인사말을 한데, 이어 남측의 공동대표 신법타 평불협 회장은 “지금은 비록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민족문화의 온전한 계승과 발전이 제약되어 있지만, 남측에 있는 문화재도 북측에 있는 문화재도 모두 소중한 민족문화유산이다. 역사적 의미를 지닌 남북 단청불사 협력사업을 시작으로 남북 불교계가 앞장서 문화적 측면은 물론이고, 남북불교 교류 활성화에 기여해 민족의 화합과 통일의 길을 앞당기자.”라는 축사를 가졌다.


이날 법운암 입재 법회에는 리의화 문화보존지도국(문화재청) 부국장 등 정부 인사를 비롯해 조불련의 황병준 부위원장, 심상진 서기장, 한성기 국제부장, 리영호 책임부원, 정영호 교육부장 등과 평양시 불자 120여 명 그리고 남측에서 학담 민추본 집행위원장, 미산 조계종 사회부장, 도후 불교방송 이사장, 영담 석왕사 주지, 설송 희방사 주지, 혜자 도선사 주지, 장곡 선본사 주지 등 8명과 김준웅 단청장, 박영석 단청기술자, 정인악 평불협 이사장, 임대윤 대구시 동구청장, 주호영 변호사, 이준성 삼화페인트 과장, 이환래 민추본 기획홍보국장, 주준하 평불협 학생대표, 김성호・김헌영・김성룡 개금전문가 등 남측 인사들이 참가했다.

평양 법운암에 대한 시범사업 단청 공동작업은 김성룡 단청수리기술자 등 남측 6명과 북측 만수대창작사 소속의 화가와 노무인력 2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2003년 8월 5일~19일까지 법운암에서 단청과 불상 개금작업을 완료했다. 그 후 북측 문화보존지도국의 지도하에, 조불련과 해당사찰, 각 시・도 인민위원회는 단청작업 사찰에 대해 2008년까지 보수와 수리, 단청작업을 수행했다.



평양 법운암 단청 및 수리작업(2003.8.5.~8.19.) 사진=통일시대(2019년 8월호).



 



묘향산 보현사 홍가사 전달식(2003.10.3.)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조선의 빛깔로 덮다
2003년 10월 3일 묘향산 보현사 대웅전에서 특별한 불교의식이 열렸다. 남측 평불협에서 보현사를 비롯한 평양 광법사에 붉은 가사(紅袈裟) 100벌을 전달했다. 이날 신법타 평불협 회장은 홍가사를 불단에 올린 다음, 청운 최형민 보현사 주지에게 전달했다. 1991년 10월 30일 미국 LA 관음사 보현회가 조불련에 홍가사 100벌을 전달한 이후, 두 번째의 가사 전달이었다.

‘금강산의 붉은 승려’가 근세기의 상징이었다면, 2003년 10월 보현사에서의 홍가사 전달은 북조선의 붉은 승려로 상징됐다. 묘향산 용주봉의 사리탑과 팔만대장경보존고 그리고 붉은 승려가 머무는 북한 삼보사찰의 위상을 가진 보현사 법당은 조선의 빛깔로 가득 채워졌다.

그해 6.15 민족통일대축전 3돌 남북공동 행사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SARS)의 유행으로 남과 북에서 따로 열렸다. 하지만 8.15 민족대회는 남측 대표단 340명이 평양을 방문해 가졌다. 8월 17일 부문별 상봉행사는 불교는 평양 광법사에서, 기독교는 평양 봉수교회, 천주교는 장충성당, 천도교는 평양 청우당에서 남북공동으로 예식을 열었다. 특히 8월 21일 대구에서 열린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개막식에 남과 북의 대표선수들이 한반도기를 앞세워 동시 입장을 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동시 입장은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대회’에 이어 두 번째였다.

그간 남북교류에 있어 보조역할에 만족했던 불교계가 이 시기로부터 선봉에 나서게 됐다. 2003년 1월 14일에 남측 조계종단과 조불련이 금강산 신계사 복원 불사에 대한 기본 합의서를 체결, 교환하였으며, 11월 9일~23일 금강산 신계사 터에 대한 남북공동 시・발굴조사가 처음 진행됐다. 또 2월 27일 남측의 천태종은 북측과 개성 영통사 복원에 관한 약정에 합의하는 등 본격적으로 북녘사찰의 복원 시대가 개막되면서부터다.

# 다음 편은 ‘2004년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이 이어집니다.

-------------------------------------------------------------------------------------
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2003.8.7. 평양 법운암)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조선의 빛깔을 찾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열린 남북교류에서 2003년은 남북불교 교류 최고의 한 해였다. 남북공동 단청불사 작업을 비롯하여 개성 영통사 복원사업과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에 관한 협의 체결과 6.15와 8.15 및 10.3 남북공동 행사를 비롯한 홍(紅)가사 지원 등 가장 불교적인 내용의 교류가 열렸다.

특히 남북공동 단청불사 사업은 기존의 교류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일회성 교류의 범위를 벗어나 장기체류방식의 기술 협력과 안료(물감), 인적 교류까지 확대됐다. 이러한 교류가 추진되기까지는 신법타 평불협 회장과 양산 조계종 사회부장, 학담 민주본 상임집행위원장, 도각 조계종 남북교류위원장 등 남측 인사들과 조불련의 황병대 부위원장, 심상련 서기장 등 불교 인사들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참사들의 노력이 뒷받침됐다.

2002년 2월 초, 금강산에서 열린 금강산신계복원추진위원회 남북불교회의에서 상정된 첫 의제였다. 그해 8월 26일 조불련은 남측 민추본에 ‘사찰 및 민족문화재 단청사업’을 위한 재료 지원 및 기술교류를 제안했다. 또 10월 9일 중국 베이징에서 민추본, 평불협 대표단이 조불련과 회동하고, 북측지역 59개 사찰에 관한 단청재료 지원 및 기술교류에 대해 협의했다. 이때 황병준 조불련 부위원장은 “북과 남이 합심하여 민족문화재인 사찰을 조선의 색으로 다시 입히는 것은 역사적인 불교 사업인 동시에 조국통일을 앞당기고, 6.15 공동선언의 리행에 한 발자국 더 나아가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평양 법운암을 시범사찰로 지정하고, 처음 단청작업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그 당시 조불련에서 남측에 제공한 ‘북반부 사찰 단청지원과 관련한 자료’를 보면, 다음 <표1, 표2>와 같다.

그해 11월 26일~12월 3일까지 평불협 대표단은 방북하여 조불련 측과 북한사찰 단청불사에 관한 추진 및 개금불사에 대한 합의를 가졌다. 이후 12월 21일 중국 베이징에서 조불련 대표단(황병준 부위원장, 한성기 국제부장)과 조계종 총무원(양산 사회부장, 지일 사회국장)은 북한지역 59개 사찰 및 민족문화재에 대한 단청불사 추진에 관한 합의서를 최종 체결하면서 성사됐다.

2003년 2월 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조불련과 남측의 민추본, 평불협 대표단은 단청불사에 대한 세부사항을 협의하고, 이어 3월 초, 국내에서 민추본과 평불협과 공동사업으로 추진키로 합의했다. 그해 3월 11일~15일까지 학담 민추본 상임집행위원장을 단장으로 법경 민추본 사무처장, 김봉건 국립문화재연구소장 등 6명의 실사단을 파견하고, 북한사찰 및 문화재에 대한 단청 현황조사 및 실행 합의서를 체결했다. 4월 1일 신법타, 학담, 미산 등은 남측의 단청불사추진위원회 구성에 관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공식화했다. 이어 5월 27일 북한사찰 단청불사를 위한 단청안료 및 도구 1차 지원을 추진하고, 6월 5일 통일부에 북한사찰 단청불사 협력사업 사업자 및 사업 승인을 받았다. 그해 7월 28일~30일 금강산호텔에서 ‘남북 단청문화 전시회 및 학술 토론회’를 처음으로 가졌다.

표1. 북반부 사찰 1단계 단청사암 현황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

법운암

4

1,108

룡화사

1

1,500

동금강암

1

840

법흥사

3

1,102

법련사

3

2,410

안국사

3

4,825

보현사(향산읍)

9

11,013

상원암

2

1,035

불영대

1

770

하비로암

2

854

금강암()

1

441

능인암

1

560

계조암

1

1,008

화장암

1

678

축성전

1

1,020

보월사

1

2,880

량화사

5

2,693

만년사

1

700

성불사

6

5,052

심원사(박천군)

6

2,880

귀진사

3

2,028

강서사

1

640

송월암

1

520

고정사

2

958

월정사

4

3,372

자혜사

1

1,100

관음사

1

910

안화사

2

2,562

 

표2.북반부 사찰 2단계 단청사암 현황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

사찰명

건물수

단청면적()

표훈사

6

3,529

보덕암

1

280

정양사

2

1,960

보윤암

1

1,134

명적사(원산시)

2

1,300

령죽사(영추암)

1

350

보현사(안변군)

5

3,100

불지암

1

539

동문사

1

1,085

천주사

2

11,010

서운사

2

704

개원사

1

840

금강사

6

2,138

심원사(연탄군)

3

2,406

흥복사

2

2,080

룡흥사

4

4,761

귀주사

1

1,080

지흥사(복흥사)

2

1,900

안불사

2

2,312

정광사

3

3,390

광제사

3

2,460

동덕사

1

1,000

가루사

2

1,020

량천사

3

4,240

청계사

2

1,740

관해사

2

1,770

쌍계사

3

1,744

만수암

3

1,194

원명사(희천시)

3

2,360

중흥사(삼수군)

2

1,840


분단 반세기를 넘긴 때에 다시 찾은 조선의 빛깔 찾기는 2003년 8월 7일 오전 11시 평양시 룡악산 법운암에서 ‘북남(남북) 공동단청 및 개금불사 입재법회’로 시작됐다. 심상진 조불련 서기장의 사회와 리영호 책임부원의 집전으로 진행된 입재 법회에는 남측 대표단과 조불련 임원과 사찰 주지와 평양시 불자 등 사부대중 130여 명이 참여했다. 내각 직속의 문화보존지도국 리의화 부국장(차관급)이 인사말을 한데, 이어 남측의 공동대표 신법타 평불협 회장은 “지금은 비록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민족문화의 온전한 계승과 발전이 제약되어 있지만, 남측에 있는 문화재도 북측에 있는 문화재도 모두 소중한 민족문화유산이다. 역사적 의미를 지닌 남북 단청불사 협력사업을 시작으로 남북 불교계가 앞장서 문화적 측면은 물론이고, 남북불교 교류 활성화에 기여해 민족의 화합과 통일의 길을 앞당기자.”라는 축사를 가졌다.

이날 법운암 입재 법회에는 리의화 문화보존지도국(문화재청) 부국장 등 정부 인사를 비롯해 조불련의 황병준 부위원장, 심상진 서기장, 한성기 국제부장, 리영호 책임부원, 정영호 교육부장 등과 평양시 불자 120여 명 그리고 남측에서 학담 민추본 집행위원장, 미산 조계종 사회부장, 도후 불교방송 이사장, 영담 석왕사 주지, 설송 희방사 주지, 혜자 도선사 주지, 장곡 선본사 주지 등 8명과 김준웅 단청장, 박영석 단청기술자, 정인악 평불협 이사장, 임대윤 대구시 동구청장, 주호영 변호사, 이준성 삼화페인트 과장, 이환래 민추본 기획홍보국장, 주준하 평불협 학생대표, 김성호・김헌영・김성룡 개금전문가 등 남측 인사들이 참가했다.

평양 법운암에 대한 시범사업 단청 공동작업은 김성룡 단청수리기술자 등 남측 6명과 북측 만수대창작사 소속의 화가와 노무인력 2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2003년 8월 5일~19일까지 법운암에서 단청과 불상 개금작업을 완료했다. 그 후 북측 문화보존지도국의 지도하에, 조불련과 해당사찰, 각 시・도 인민위원회는 단청작업 사찰에 대해 2008년까지 보수와 수리, 단청작업을 수행했다.

평양 법운암 단청 및 수리작업(2003.8.5.~8.19.) 사진=통일시대(2019년 8월호).
평양 법운암 단청 및 수리작업(2003.8.5.~8.19.) 사진=통일시대(2019년 8월호).

 

묘향산 보현사 홍가사 전달식(2003.10.3.)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묘향산 보현사 홍가사 전달식(2003.10.3.) 사진=평불협 20년 자료집(2012년)

조선의 빛깔로 덮다
2003년 10월 3일 묘향산 보현사 대웅전에서 특별한 불교의식이 열렸다. 남측 평불협에서 보현사를 비롯한 평양 광법사에 붉은 가사(紅袈裟) 100벌을 전달했다. 이날 신법타 평불협 회장은 홍가사를 불단에 올린 다음, 청운 최형민 보현사 주지에게 전달했다. 1991년 10월 30일 미국 LA 관음사 보현회가 조불련에 홍가사 100벌을 전달한 이후, 두 번째의 가사 전달이었다.

‘금강산의 붉은 승려’가 근세기의 상징이었다면, 2003년 10월 보현사에서의 홍가사 전달은 북조선의 붉은 승려로 상징됐다. 묘향산 용주봉의 사리탑과 팔만대장경보존고 그리고 붉은 승려가 머무는 북한 삼보사찰의 위상을 가진 보현사 법당은 조선의 빛깔로 가득 채워졌다.

그해 6.15 민족통일대축전 3돌 남북공동 행사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SARS)의 유행으로 남과 북에서 따로 열렸다. 하지만 8.15 민족대회는 남측 대표단 340명이 평양을 방문해 가졌다. 8월 17일 부문별 상봉행사는 불교는 평양 광법사에서, 기독교는 평양 봉수교회, 천주교는 장충성당, 천도교는 평양 청우당에서 남북공동으로 예식을 열었다. 특히 8월 21일 대구에서 열린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개막식에 남과 북의 대표선수들이 한반도기를 앞세워 동시 입장을 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동시 입장은 ‘2002년 부산 아시아경기대회’에 이어 두 번째였다.

그간 남북교류에 있어 보조역할에 만족했던 불교계가 이 시기로부터 선봉에 나서게 됐다. 2003년 1월 14일에 남측 조계종단과 조불련이 금강산 신계사 복원 불사에 대한 기본 합의서를 체결, 교환하였으며, 11월 9일~23일 금강산 신계사 터에 대한 남북공동 시・발굴조사가 처음 진행됐다. 또 2월 27일 남측의 천태종은 북측과 개성 영통사 복원에 관한 약정에 합의하는 등 본격적으로 북녘사찰의 복원 시대가 개막되면서부터다.

# 다음 편은 ‘2004년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이 이어집니다.

-------------------------------------------------------------------------------------

#이지범
경북 경주 출생으로 1984년부터 불교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참여하다가 1990년 초, 법보종찰 해인사에 입산 환속했다. 1994년부터 남북불교 교류의 현장 실무자로 2000년부터 평양과 개성・금강산 등지를 다녀왔으며, 현재는 평화통일불교연대 운영위원장과 북한불교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남북불교 교류 60년사’ 등과 논문으로 ‘북한 주민들의 종교적 심성 연구’ 등이 있다.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 제보 mytrea70@gmail.com]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16 대형빌딩 4층
  • 대표전화 : (02) 734-7336
  • 팩스 : (02) 6280-25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석만
  • 대표 : 이석만
  • 사업자번호 : 101-11-47022
  • 법인명 : 불교닷컴
  • 제호 : 불교닷컴
  • 등록번호 : 서울, 아05082
  • 등록일 : 2007-09-17
  • 발행일 : 2006-01-21
  • 발행인 : 이석만
  • 편집인 : 이석만
  • 불교닷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불교닷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san2580@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