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보물 괘불 인터넷 갤러리에서 고화질로 감상한다

2022-09-19     이창윤 기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로 지정된 괘불을 고화질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됐다.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국보·보물로 지정된 괘불도(掛佛圖) 47점의 고화질 사진을 9월 18일부터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누리집(https://portal.nrich.go.kr) ‘한국의 괘불 갤러리’ 메뉴에서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

괘불도은 야외에서 봉행되는 대규모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화다. 색채가 화려하고 묘사가 정밀하다.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형식의 불화이지만, 크기가 10m가 넘고 가끔 열리는 야외행사에서나 볼 수 있어 불자들이 쉽게 감상할 수 없었다.

이번에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고화질 괘불도 사진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원, (사)성보문화재연구원이 함께 진행하고 있는 ‘대형불화(괘불도) 정밀조사 사업’에서 촬영된 것이다. 현재 고화질 사진이 제공되고 있는 괘불도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괘불도 전체 62점 중 국보 ‘갑사 삼신불 괘불탱’ 등 조사가 완료된 47점이다. 이중에는 국보가 6건, 보물이 41건이다.

사진은 3000만~6000만 화소의 고화질이어서, 화승의 정교한 필치와 섬세하고 아름다운 문양을 확대해 세밀하게 감상할 수 있다. 일반인을 위해 그림 속에 등장하는 여러 권속의 이름을 말풍선 기능을 사용해 제공하며, 불화 연구자를 위해 화기(畵記) 정보를 수록했다. 사진은 확대해서 감상할 수 있지만 내려 받을 수는 없도록 제한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 일정에 따라 조사가 완료 되는대로 나머지 15점의 고화질 사진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다음은 현재 ‘한국의 괘불 갤러리’에 공개된 괘불 목록.

국보 △갑사 삼신불 괘불탱, 효종 원년(1650)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현종 5(1664)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효종 3(1652) △청곡사 영산회 괘불탱, 경종 2년(1722)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인조 6(1628)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 효종 4(1653)

보물 △개심사 영산회 괘불탱, 영조 48년(1772) △개암사 영산회 괘불탱 초본,영조 25년(1749) △개암사 영산회 괘불탱, 영조 25년(1749)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순조 8년(1808)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영조 25년(1749) △군위 법주사 괘불도, 숙종 40년(1714) △금당사 괘불탱, 숙종 18년(1692) △금탑사 괘불탱, 정조 2년(1778) △김천 직지사 괘불도, 순조 3년(1803)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영조 11년(1735) △내소사 영산회 괘불탱, 숙종 26년(1700) △다보사 괘불탱, 영조 21년(1745) △도림사 괘불탱, 숙종 9(1683)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숙종 13(1687) △만연사 괘불탱, 정조 7년(1783) △미황사 괘불탱, 영조 3년(1727) △법주사 괘불탱, 영조 42년(1766)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인조 27(1649)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숙종 14(1688)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정조 12년(1788)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순조 32년(1832)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숙종 28년(1702)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현종 14(1673) △수도사 노사나불 괘불탱, 숙종 30년(1704)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 영조 4년(1728) △안동 봉정사 영산회 괘불도, 숙종 36년(1710)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 영조 26년(1750) △예천 용문사 영산회 괘불탱, 숙종 31년(1705) △오덕사 괘불탱, 영조 44년(1768) △용봉사 영산회 괘불탱, 숙종 16년(1690)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숙종 10(1684) △운흥사 괘불탱, 영조 6년(1730) △율곡사 괘불탱, 숙종 10(1684) △은해사 괘불탱, 영조 26년(1750) △죽림사 세존 괘불탱, 광해군 14(1622년)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 효종 9(1658) △축서사 괘불탱, 영조 44년(1768)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 숙종 36년(1710) △통도사 괘불탱, 정조 16년(1792)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탱, 영조 43년(1767)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영조 35년(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