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연재] '열린 강원'을 시작하면서
[새 연재] '열린 강원'을 시작하면서
  • 안재철 교수
  • 승인 2017.09.15 13:20
  • 댓글 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論語·爲政>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모르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모른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그것을 인정할 줄 아는 사람은 모르는 것을 고쳐 알게 되지만, 모르는지도 모르거나, 모르는 것을 알면서도 변명하려들면 영원히 모르며 살게 된다.

스티븐 호킹 박사가 세계적인 물리학자라고 하나, 어찌 그가 불교를 알 것인가? 비록 村夫(촌부)라고 하더라도 불교공부에 심취한 자라면, 불교에 관한 한 호킹박사보다 나을 것이니, 호킹박사도 불교가 궁금하다면 村夫(촌부)에게 배워야 하지 않겠는가?

제 아무리 불교철학 방면에서 위대한 업적을 이루었다고 하더라도, 혹 번역을 전문으로 하지 않았다면 번역을 전문으로 하는 이에게 배워야 마땅하고, 물리학의 기초가 되는 수학을 모르고, 곧바로 물리학을 배웠다면, 기초가 되는 수학만이라도 수학자에게 배워야하는 것이 마땅하다.

배움의 첫걸음은 下心(하심)에 있다.

불교철학을 전문으로 한 사람만이 불교를 아는 것은 아니다.
不立文字(불립문자)인줄도 모르고 문자에 穿鑿(천착)하는, 그래서 哲學(철학)방면에는 門外漢(문외한)이지만, 그에게도 재주가 있다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줄 慈悲心(자비심)은 없는가?

中(중)이란 둘 사이의 꼭 중간이 아니지 않은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각자의 자연스러움대로 두는 것이 和(화)이고, 그것이 바로 中道(중도)가 아닌가?
 

(위 문장은 상형문자를 입력기에서 표기할 수 없어 그림 화일로 문장을 대체합니다. 독자 제위의 양해를 구합니다. 편집자 주)

피리와 같은 악기에서 각 管은 그 길이가 달라야 높거나 낮은 서로 다른 소리를 낼 것이고, 그 서로 다른 소리들이 어우러져야 비로소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조화라는 것은 처음부터 서로 다른 것이 전제되어야 성립될 수 있다. 즉 서로 같지만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同而不和(동이불화)’라고 하고, 서로 다르지만 조화를 이루는 것을 ‘和而不同(화이부동)’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동안 漢文(한문)으로 된 佛典(불전)을 읽고 강의하며 책을 쓰면서 많은 곳에서 기존의 해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글을 써서 보내보았지만, 왜 그렇게 주장하는지를 이해하려고 들지 않고, 오직 기존의 해석방식만을 지키는 데에 혈안이 되어있었기 때문에, 마치 ‘지구는 분명 둥근데도 한사코 평평하다고 주장하는 것’ 같아 답답하였더니, 다행히 불교닷컴에서 연재코너를 마련해주시니 감사하기 그지없다.

지금 필자가 본 코너의 코너명을 '열린강원'으로 정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필자는 지금껏 諸學者(제학자)가 모두 동일하게 해석하였으며, 또한 그것이 분명히 옳다고 판단되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 왜냐하면 알고 싶으면 누구의 책이라도 구하여 스스로 노력하면 얼마든지 깨칠 수 있을 것이며, 혹 깨치지 못했다면 마음이 없어 부지런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코너에서 문제 삼고자 하는 것은 諸學者(제학자)가 모두 동일하게 해석하고 있지만, 나만 홀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든지, 諸學者(제학자)가 모두 그렇게 해석하고 있는 이유를 알 수 없는 경우 등이다.

이런 문제는 사실 이미 꽤 많은 양이 수집되어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문제없이 본 코너를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직도 찾지 못한 수없이 많은 문제점들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諸人(제인)들의 衆智(중지)를 모을 수 있었으면 한다.

한문으로 쓰인 經典(경전)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궁금하여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자 한다면, “어떤 문장(가급적 語錄어록)에 대한 해석을, 누구의 어떤 책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나, 어찌어찌하게 해석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되며, 그 이유는 무엇이다.” 등으로 문제를 제기해 주시면, 그 의견에 필자의 의견도 덧붙여 올리고자 한다.

漢文佛典(한문불전) 해석에 관심이 있는 분은 누구나 모여 코너를 운영하다 보면 불교를 알게 되고 알게 되면 좋아지고 좋아지면 즐거워지지 않을까?

知之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之者. <論語·雍也>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아는 것보다는 좋아하는 것이, 좋아하는 것보다는 즐기는 것이 낫다고, 알 필요도 좋아할 필요도 없이, 오직 즐기기만을 시도하라는 말은 아니다.

어찌 모르는데 좋아할 수 있으며, 어찌 좋아하는 단계가 없이 곧바로 즐거워 할 수 있겠는가? 모르는 자는 좋아할 자격도 없고, 좋아하지 못하는 사람은 즐길 자격도 없다.

알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이 필요하다.

궁금한가? 그리고 좋아하고 즐기기를 원하는가? 그렇다면 피나는 노력을 통하여 고통의 세월을 보내야 한다.

배우고 또 배우며, 생각하고 또 생각하여 원리를 깨치고 나면, 아무 것도 배운 것이 없는 것 같으나, 남이 물으면 대답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게 되는 날도 있지 않을까?

   
 

안재철 교수(제주대)는 광주서중, 광주일고, 연세대학교를 졸업했다. 중국음운학을 전공한 문학박사이다. 저서에는 <수행자와 중문학자의 만남 『緇門警訓의 문법적 이해> <수행자와 중문학자의 만남 『禪源諸詮集都序의 이해』> <수행자와 중문학자의 만남 『禪要(上·下)』> <『本義로 이해하는 540部首 漢字』> <『本義로 이해하는 상용한자 1200』> 등이 있다. 여러 저서 가운데 <수행자와 중문학자가 함께 풀이한 『金剛經』>과 <수행자와 중문학자가 함께 풀이한 『無門關』>는 수암 스님(현 태고종 중앙강원 대교과 강백)과 함께 지은 책이다.

[불교중심 불교닷컴, 기사제보 cetana@gmail.com]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8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끝으로 부탁의 말씀과 함께^^ 2017-09-18 02:34:46
[새 연재] '열린 강원'을 시작하시는데~
우리 사부대중 불자님 들에게
유익하고 좋은내용 강연부탁도 함께 드립니다^^

300자 글도 짤리네?죄송합니다^^ 2017-09-18 02:28:34
~~
이러한 모든 괴로움의 ~
모든 길(道)中에서~
완전히 벗어나서~
~~
저 해탈/열반의 길(道)로 모두 나아가도록 도와ㅣ주는
따라서 머리로/생각으로/방일로/게을러하고/
4념처 수행하기 싫은 사람들한테는 고역행이 되게하는,,

그러나 반면에는~
하늘이나 그 어느本(본)에 따르지 않아도
스스로의 행(수)으로
<가장 올바른(正) 길로 나아가게 하는 8가지(道)도 행!>
~~
ps-거룩한 성자 만드는 일생 필생의 작품
위대한 노력(행) 으로 얻는 //필수 수행법인
자비/보살도의 거룩한 도 행(수) 중도(=8정도)수행의道(法)

수행자 2017-09-17 21:42:03
ㅎㅎ 교수님 舌來林尼多!
부처님 말씀 더하기 大,中,論,孟,詩,周 도 함께 해주실 것같고..ㅎㅎ
이런 좋은 코너를 마련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中和(중화) 사상>과<中道> 2017-09-17 18:41:29
동시에 그것은 하늘이 내려 준 것이므로
하늘의 본질이기도 하다.즉 인간은 하늘의 뜻을 따르는 本(본)이다

이러한 천인일리(天人一理)를 설명한 형이상학적인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
붓다불교 에서의 (中道)란
하늘이 내려 준것도 아니며/하늘의本(본)도 아니며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은 /포용등도 절대no
이것은 -무슨 길이길래? -세속적인 樂(낙)의 길(道) no
저것은 또 무슨?,,출세간적 고행의 길(道)이기 때문에 no
~~
이 괴로움의 길(道)에서 완번히 벗어나서

中庸-中和-中間-(中道) 2017-09-17 18:28:17
中間;정확하게 양간이 중앙이 되도록 함
~
≪中庸≫은『예기ㅣ에서 송대 주희 33장으로 완성
전반 중용 또는 중화 사상(中和思想)을
후반 성(誠)에 대해 설명
주된 뜻으로는 정자와 주희는
중(中)이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기울어지지 않으며,/지나침도/미치지 못함도 없는
것(不偏不倚無過不及)을 일컫는 것이고, ‘용(庸)’이란 영원불변이라는 뜻
~
<中和(중화) 사상은>;이러한 중용을
‘성(誠)’과 ‘중(中)’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

喜怒哀樂이 일어나기전의 인간성의 (본질)을 나타내고,
동시에 그것은 하늘이 내려 준 것이므로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16 대형빌딩 4층
  • 대표전화 : (02) 734-7336
  • 팩스 : (02) 6280-25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석만
  • 대표 : 이석만
  • 사업자번호 : 101-11-47022
  • 법인명 : 불교닷컴
  • 제호 : 불교닷컴
  • 등록번호 : 서울, 아05082
  • 등록일 : 2007-09-17
  • 발행일 : 2006-01-21
  • 발행인 : 이석만
  • 편집인 : 이석만
  • 불교닷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불교닷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san2580@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