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화선이 화두를 사유하는 수행인가?
간화선이 화두를 사유하는 수행인가?
  • 오용석 중국 남경대 철학박사
  • 승인 2015.09.18 11:15
  • 댓글 3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현응 스님의 <깨달음과 역사~> 반론
"화두를 사유하는 것이라면 얼마나 쉬웠겠나
무상 연민 자비행 품고 의심하는 게 화두”

현응 스님은 지난 5월 20일 <법보신문>에 내놓은 기고문에서 ‘출가승단은 불교자본가’라는 표현으로 불교계에 적지 않은 파문을 불러일으켰다. 생사의 해탈과 중생에 대한 자비행을 목적으로 한 출가가 ‘자본가’와 연결된다는 상상력은 그동안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충격적이었다. 자본가는 노동자와 상대적인 말로서 경제적 위계와 차별적 질서를 암시하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자유와 평등의 수행 공동체인 승가, 그리고 승가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승려가 어떻게 ‘자본가’가 될 수 있는지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 있다.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현응 스님의 발언은 한국 불교의 현주소 혹은 자화상이 아닐까 하는 우려와 종단에서 중요 직책을 맡고 있는 일부 승려들의 개인적인 관점일 수 있다는 정도로 보고 싶다. 불법이 존속되는 한 출가 수행자의 목적은 대승적 정신을 기반으로 삶이 고통이라는 것에 대한 철저한 자각과 고통에 대한 해결을 해 나가는 성스러운 삶의 실천가이자 모범이라는 희망을 버리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대승불교의 출가자는 개인의 해탈 뿐 아니라 내가 아닌 타자에 대한 연민과 뜨거운 감수성을 이타행으로 실천해 나가는 보살도의 실천자이기에 승속을 막론하고 육바라밀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대승의 이념이 ‘불교자본가’라는 관점에 의하여 흔들릴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현응 스님은 다시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의 전문에서 많은 논제를 제시하였다. 발언한 내용 자체가 학술적인 글이 아니기에 필자 역시 논거 보다는 논지 위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필자는 대승불교를 바탕으로 선사상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으로 간화선을 전공하였다. 다른 부분에 대한 논의는 각계의 전문가들에게 미루고 현응 스님의 간화선과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그런 과정에서 중국불교는 심오하지만 난해한 교리를 전개하는 학자들의 불교가 되고 말았다. 보다 대중적인 불교도 필요했을 것이다. 이질적으로 느껴지는 인도인들의 용어들과 개념, 게다가 번역된 한문 자체가 어려운 문자였기 때문에 한문으로 된 불교경전들과 주석서는 불교이해의 큰 장벽이었다.
마침내 '불립문자(不立文字)''직지인심(直指人心)''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는 선불교의 슬로건이 등장했다.


현응 스님은 위의 글에서 불교 이해의 큰 장벽이 불립문자의 선으로 발전하게 된 것처럼 말하고 있으나 선불교는 당시 교학불교의 주된 흐름이었던 화엄종, 천태종 등과 같이 발전하였으며, 당시 정치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던 교학불교가 회창법난(842~845)을 통하여 쇠퇴하고 난 후에 중국 불교의 주된 흐름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선불교의 등장은 당시의 정치현실과 무관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교학불교가 가진 정치적 성향과 지적(知的)이해의 한계를 직접적인 수행과 삶 속에서 극복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선불교의 등장을 교학불교와의 배타적 관계로만 이해하는 것은 선불교 사상을 이해하는데 온전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제 당송대의 선어록을 보더라도 많은 선사들이 화엄과 천태 등의 교학 체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한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면 간화선과 관련된 현응 스님의 글을 살펴보자.

결국 간화선은 조사스님들의 설법이야기나 주고받은 대화들을 잘 기억하였다가 수시로 사유하는 수행이다. 책이 필요 없는 공부방법이기도 하다. 번역된 그 어려운 한문불경을 탐독할 필요가 없다. 책이 필요 없는 불교는 그 자체로 자유로운 면이 있다. 홀홀단신 떠돌아다니는 운수납자(雲水衲子)라는 자유로운 출가수행자상은 중국에서 이때 비로소 출현한 것이 아닐까 싶다.

위의 간화선과 관련된 글은 현응 스님의 사띠에 대한 이해와 함께한다. 현응 스님은 “‘잘 기억하여 그 내용을 사유하는 일’을 경전에서는 ‘사띠(念, 憶念)’라 표현했다. 사띠의 사전적 의미는 ‘기억’이다. 8정도의 정념(正念)도 바로 이 사띠이다. 이때의 인도는 아직 기록문화가 생기기 전이며, 종이도 책도 없었다. 기록이 없던 시대에 공부하는 방법은 사띠(기억하여 사유함) 외엔 달리 없었을지 모른다.”라고 말하면서 ‘사띠’를 ‘기억’의 의미로만 해석하고 있는데 ‘기억’은 ‘사띠’의 여러 의미 가운데에 한 가지에 해당할 뿐이라는 것을 언급해 두고 싶다. 현응 스님은 이러한 ‘기억’의 의미로서의 ‘사띠’를 “간화선은 조사스님들의 설법이야기나 주고받은 대화들을 잘 기억하였다가 수시로 사유하는 수행이다.”; “이런 선불교의 간화선은 인도의 사띠 수행의 중국적 변용이라 할 것이다. 다만 같은 점은 사띠든 간화선이든 둘 다 설법내용이나 대화를 늘 기억하여 성찰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로 표현하면서 간화선과 관련시키고 있다. ‘사띠’를 ‘기억’의 의미로 해석하는 근거를 ‘기록이 없던 시대에 공부하는 방법’으로 보고 있는데, 이 말은 인도의 경우에는 해당이 될지 모르나 간화선이 유행하였던 중국의 송대는 해당되지 않는다. 송대는 이와 반대로 엄청난 기록 문화의 시대였다. 송대 문화사를 살펴보면 당시 인쇄술의 발달과 그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영향과의 관계가 밀접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문화가 발달하였던 송대에 ‘잘 기억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도통 이해가 가지 않는다.

또한 필자가 생각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간화선을 ‘수시로 사유하는 수행’으로 단정하는 부분이다. 물론 불교는 인간의 사유 자체를 부정한 적은 없다. 연기적 모습으로 나타나는 사유 혹은 마음의 활동은 우리 삶의 실존적 모습이기 때문이다. 현응 스님이 말하는 ‘사유’의 개념이 정확히 어떤지는 모르겠으나 이러한 이해가 결국 ‘이해하는 깨달음’의 논의로 귀결되는 것을 본다면 ‘지적 통찰’에 가까울 것이다. 왜냐하면 사유는 결국 지적 통찰 혹은 이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사유가 가지고 있는 가장 커다란 문제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사유에 동원되는 언어 자체가 가진 실체성의 문제와 관계가 깊다. 이러한 논의는 이미 비트겐슈타인, 라캉 등과 같은 현대철학자들에 의하여 깊이 논의된 문제이기에 생략하고자 한다. 간단히 말하면 사유가 가진 한계는 그것 자체가 유아론(唯我論)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언어의 실체화와 관련된 문제는 일찍이 용수가 󰡔중론󰡕에서 충분히 논의했던 문제이며, 선불교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 인간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가 ‘사유’로 해결되지 못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사유는 결국 ‘희론(戱論)’이기 때문이며, 아무리 뛰어난 지적 이해라고 하여도 우리 인간에게 진정한 자유와 해방을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필자는 묻고 싶다. 흔히 중국의 선학자들이 화두의 기원으로 이해하는 혜능과 혜명의 문답인 “선(善)도 생각하지 않고 악(惡)도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 바로 그러한 때 어떤 것이 그대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인가?”라는 질문이 사유를 이끌어 내는 질문인가? 잘 사유하라는 질문인가? 이 말에 대하여 우리는 잘 사유하여 대답할 수 있는가? 사유하는 것이 간화인가? 그렇다면 왜 경학에 정통했던 향엄 스님은 깨닫지 못하고 전전하다가 대나무에 돌이 부딪히는 소리를 듣고 깨달았으며, 역시 󰡔금강경󰡕에 정통했던 덕산 스님은 왜 용담 스님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었는가? 간화가 그저 다른 사람이 깨달은 내용을 지적으로 사유하는 것이라면 왜 간화선의 주창자였던 대혜는 끊임없이 당시 사대부들의 지적 이해를 경계하였는가? 대혜의 간화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화두에 대한 ‘의심’이라는 마음의 활동을 통하여 화두를 수행자 자신의 실존적 문제로 전환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두를 드는 수행자는 ‘깨달음의 기연’을 남의 이야기 살피듯이 보는 것이 아니라 마치 자신이 당면한 실존적 문제로 맞닥뜨리는 것이다. 그래서 화두는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의심’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심’의 태도 안에는 우리 삶이 무상하다는 자각과 함께 타자에 대한 연민이라는 자비행이 함께한다. 대혜가 간화의 수행자들에게 일러주었던 ‘서원’에서 “…그리하여 모든 부처님의 막대한 은혜를 갚게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던 것처럼 간화의 수행은 지적 이해가 아니라 실천의 문제를 동반한다.

현응 스님의 말과는 반대로 대혜는 수행자들이 화두를 사유하는 것을 경계하였다. 대혜가 원오의 󰡔벽암록󰡕 판각을 불살랐던 이유도 당시 많은 수행자들이 고인의 공안을 지적 이해의 대상으로 본 것에 대한 경고였다. 화두는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의심’해야만 하는 것이기에.... 화두를 의심하는 마음의 상태는 혼침과 도거라고 하는 우리 마음의 부정적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분별심이 멈추게 되는 경지로 수행자를 이끈다. 대혜는 이것을 ‘심무소지(心無所之)’라고 표현하였다. 분별심 없이 우리 인간이 가진 마음의 활동성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 간화인 것이다.

만약 간화선이 화두를 사유하는 것이라면 수행이 얼마나 쉬웠겠는가? 그렇다면 지적 이해와 사유의 방식에 달통한 논리학자,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등은 모두 깨달은 사람들이란 말인가? 왜 성철 스님은 보조 스님의 ‘돈오’ 조차도 ‘지적 이해’ 라고 비판하였는가? 왜 일정 수준의 지적 이해에 도달한 사람들이 다시 그들이 배운 것을 내려놓고 수행 정진하는가? 수행이 그토록 쉬운가? 왜 운문 스님은 삼구에서 마지막으로 수파축랑(隨波逐浪)을 말하는가?

불교에서 말하는 삼혜(三慧)인 문사수(聞思修) 가운데에 현응 스님이 말하는 ‘잘 이해하는 것’은 문혜(聞慧)와 사혜(思慧)에 속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스님의 ‘잘 이해하는 것’이 꼭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을 깨달음으로 정의하는 것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성철 스님이 돈오돈수를 주장한 배경에는 당시 수행자들이 약간의 지견을 얻고 나서 깨달았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에 대한 현실 인식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것은 곧 깨달음과 삶 속에서의 실천이 함께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었다. 그러므로 깨달음을 말하기 위해서는 지적(知的) 이해의 정도가 어떠하느냐를 말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자비행을 하고 있는가의 문제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대혜는 간화의 공부를 통하여 당시 공안을 사유하는 것이 참된 수행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물론 이러한 전통은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간화의 수행은 지적 이해도 아니고 사유도 아니며 온 몸으로 부딪쳐 의심하는 직관적 방법론이다. 보조 스님은 당시 고려 불교계가 광선(狂禪)과 치선(癡禪)으로 내달리는 모습에서 돈오점수를 주장하였고, 성철 스님은 약간의 깨달음을 궁극의 경지로 착각하는 수행자들에게 돈오돈수로 성불(成佛)의 길을 제시하였다. 그렇다면 현응 스님의 ‘사유하는 간화론’은 무엇을 위한 것일까. 설사 ‘잘 이해하는 것’이 깨달음이라고 하여도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실존적인 문제들이 해결되는가.

대혜는 말한다.

“만약 예전의 이성(理性) 상에서 재미를 얻거나, 경전의 가르침 속에서 재미를 얻거나, 조사의 언구(言句)에서 재미를 얻거나, 발들 들어 걸음을 옮기는 곳에서 재미를 얻거나, 눈으로 보고 듣는 곳에서 재미를 얻거나, 마음과 뜻으로 생각하는 곳에서 재미를 얻은 적이 있다면 결코 일을 성취하지 못합니다.”

/ 오용석. 중국 남경대 철학박사

[불교중심 불교닷컴. 기사제보 dasan2580@gmail.com]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9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추잡해진 현응 2015-09-22 09:19:09
어야.. 개껌씹는 현응!
교육원장 감투써고 개껌씹는 말로 지껄리기 전에 니 얼굴 좀 봐라.
개껌으로 도배되어 추잡해 못보겄다..
그것도 모르고 헤벌쭉해 거짓으로 간화선이 어떻고,저떻고 꼴갑질..ㅉㅉ

행자 2015-09-22 08:54:24
.

현응이 개 껌 씹는 소리에 2015-09-22 00:28:37
한 盞 묵어야 법문 혀따던디.......
내가 그 꼴잉가 ??????

내도 한 잔 묵고 쓴 글이니
내글이 독자로 하야금 맴에 걸리는 바 있으믄 모다 망상이니라~~~~~~~~~~~ ㅍㅎㅎㅎ

현응이 개 껌 씹는 소리에 2015-09-22 00:05:13
이거 안 되믄
사상누각(모래알로 밥 짓기)...........
===============
단, 위빠사나....라는 新?舊武器가 유행 헌다던디
이건 예수님 갈침 핵폭탄 수행법으로 신무기가 절때로 아이당.
예수 왈 "항상 깨어있어라 "이당.
이게 불교 수행법이고 화두수행 몬 허는 이들한티는 쵝오의 수행뻡이다.
이거도 몬 허문
걍 절깐에 간서 불쩐함에 돈 넣고 비는 미신이나 믿는 거이 그나마 도움이 안 될 꺼이당.

현응이 개 껌 씹는 소리에 2015-09-21 23:45:54
말따묵끼 끝나는 자리......
이거 끝나문
入초선정 임다요

이후로도 갈 길이 9 만리 밖에 안 됨다유ㅠㅠㅠㅠㅠ ㅎㅎㅎ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16 대형빌딩 4층
  • 대표전화 : (02) 734-7336
  • 팩스 : (02) 6280-25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석만
  • 대표 : 이석만
  • 사업자번호 : 101-11-47022
  • 법인명 : 불교닷컴
  • 제호 : 불교닷컴
  • 등록번호 : 서울, 아05082
  • 등록일 : 2007-09-17
  • 발행일 : 2006-01-21
  • 발행인 : 이석만
  • 편집인 : 이석만
  • 불교닷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불교닷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san2580@gmail.com
ND소프트